Serverless Computing 이란?

최근 대두되는 Serverless Computing의 핵심은 프로그래밍 모델 패러다임에 있다. 한가지 예를 들어, 기존 event processing programming을 보면 현실세계에서 생산되는 stream data를 넘겨받아 backend에서 분산처리하는 구조인데,
   frontend: App program -> emit streaming data to backend
   backend: kafka -> storm / spark / dataflow -> data store -> reuse
이렇게 frontend와 backend 를 나누면서 발생하는 비효율성과 단점은 server-side 시스템 구축이 어렵고 (e.g., 분산 큐, 분산 streaming 프로세싱 등) 복잡하며 느리며 특히, backend의 DAG-style 또는 minibatch-style 분산 컴퓨팅 작업 내 Task topology 관리 문제가 어렵다. 이런걸 하던 애들이 기존에 Apache Storm, Spark 이런건데 이것도 이제 legacy로 가는 거다.

그럼 Serverless에서는 이것이 어떻게 바뀌느냐.
   App program: pipeline of lightweight functions
끗~.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lightweight function 서비스의 runtime provisioning 이 필요한 것이고, 그걸 한다는게 Serverless Computing 이다.

또 다른 예로, 이전 포스트에서 소개한 Google Flights의 가격 변동 예측 모델을 상상해보자. 전통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이 기존에 쌓아둔 dataset을 가지고 학습된 model을 deploy 해서 prediction 서비스를 구현 할 것이다:


Machine Learning 또한 요즘 유행하는 DevOps 스타일로 Serverless Computing Architecture로 구현가능하다. 다음은 Event-driven prediction 알고리즘의 Serverless Architecture이다:



이로써 얻는 장점은 구현과 시스템의 복잡도가 극적으로 줄어들며, decentralized architecture로 시스템을 설계 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련 오픈소스는 Tensorflow on Openwhisk 에서 확인해보시라 (주말 프로젝트라 속도가 느림).

4 comments:

  1. You’ve done such an amazing job. I really love your article.

    ReplyDelete
  2. You’ve done such an amazing job. I really love your article

    ReplyDelete
  3. The article I’m looking for.eglogen Your article gives me another approach on this subject. I hope to read you more articles.

    ReplyDelete
  4. You’ve done such an down or not amazing job. I really love your article

    ReplyDe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