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월, KT에 재직할쩍에 유클라우드 내부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검토하면서 스플렁크라는걸 처음 봤었다. 당시에는 모니터링이라는 기능에 집중하고 있었고, 상당히 말끔한 UI 이기는 하지만 기술적으로 (나에겐) 특별히 흥미로운점이 없어서 별 생각 없었는데 요즘 매우 뜨는것 같다.
본질은 그대로이나 '빅데이터' 거품이 합해졌다. 레거시 시스템에 설치하는 설치형 소프트웨어라는점에서 극단적인 장점과 단점이 공존하는데, 이는 중요치 않고 일단 데이터 과학자나 엔지니어 그리고 R&D 투자가 부족한 기업들에게 크게 어필하는것 같다.
기업/정부 시스템들이 딱히 필요성을 못느끼는 상황에서 '빅데이터' 트렌드를 따라가다보니 결과물은 쥐어짜야하겠고, .. 난항을 겪으면서 도입하는게 스플렁크라면 참 걱정스럽지 아니할 수가 없다.
스플렁크 외에 잡얘기를 잠깐 덧붙이면, ...
한국 IT는 중요한 컴포넌트를 대부분 가져다 쓰고, 비지니스 로직과 서비스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저비용 개발과 수익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그렇다. 그러다보니 결국 오늘날 서비스도 점점 글로벌화 되어가는 이 시점에, 소프트웨어는 물론 서비스 둘 다 놓치게 되는 상황이 오고 있는거 아닌가 싶다.
예전에 IT분야 뉴스를 보면 미투데이가입자가 몇만명 돌파했니, 네이버가 뭘 했니 하는 뉴스가 간간히 보였지만 요즘은 애플 vs. 삼성 말고는 별로 볼게 없다.
아니나 다를게 동영상하면 Youtube, SNS하면 페이스북/트위터, 검색하면 구글, 소프트웨어하면 오픈소스와 자바, .... 물론, 모바일 패러다임에 카카오톡같은 .5 IT 세대가 나오긴 했지만 결국 다 밀릴거 같다.
Subscribe to:
Post Comments (Atom)
-
음성 인공지능 분야에서 스타트업이 생각해볼 수 있는 전략은 아마 다음과 같이 3가지 정도가 있을 것이다: 독자적 Vertical 음성 인공지능 Application 구축 기 음성 플랫폼을 활용한 B2B2C 형태의 비지니스 구축 기 음성 플랫폼...
-
패밀리 세단으로 새차 구입은 좀 무리일 것 같아서, 중고로 하나 얻어왔습니다. 중고차라고 티 내는건지 :-) 시거잭에 전원이 안들어오더군요. 요즘 참 세상 좋아졌다고 생각드는게, 유튜브에서 시거잭 전원 불량에 대한 단서를 얻었습니다. 바로 퓨즈가 나가...
-
개발자 컨퍼런스같은 것도 방문한게 언제인지 까마득합니다. 코로나로 왠지 교류가 많이 없어졌습니다. 패스트캠퍼스로부터 좋은 기회를 얻어 강연을 하나 오픈하였습니다. 제가 강연에서 주로 다룰 내용은, 인터넷 역사 이래 발전해온 서버 사이드 기술들에 대해 ...
미국과는 달리, 한국은 데이터 오염이 너무 심해서 원하는 결과를 조작하기가 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ReplyDelete5500만명이라는 인구가 적다...라는 것은 좀 심하다고 생각합니다만...
구글이나 페이스북 같은 회사가 아닌 이상, 빅데이터에 걸맞는 데이터를 확보하는 회사는 그리 많지 않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삼성은 이런 데이터 활용할 줄 아는 회사가 아니죠...)
많지 않죠 확실히
Deleterocking video
ReplyDe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