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 Tier 1 메이저 투자사가 보는것은 딱 두 가지다:
첫째, 유저 베이스 (The number of users of some product or service) 가 얼마나 큰가?
둘째, 원천기술이 있는가?
사실 기업의 평판 자산이나 경험 자산은 그것이 독보적이지 않는 한 큰 의미는 없다고 본다.
잠시 내 분야 얘기로 돌아가서, SIGMOD14 "Are We Experiencing a Big Data Bubble?"[1] 에 대해 내 생각은 이렇다.
초반 빅 데이터 진영에서 빠른 유저 베이스 확보를 위해 꺼낸 카드가 바로 SQL과 R인데, 이것이 결국 기술의 본질 희석과 거품론을 생산하게 된 계기라고 보고 있다. 빅 데이터 진영은 단순 덩어리 키우기 M&A와 Exit에 집중하기보다는 본질 집중과 생각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인듯 하다.
여튼 다시.. 한국은 어떨까, 내가 들은 얘기들은 거의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
둘째, 사람
셋째, 사람
더불어 평판과 경험 자산, 그리고 현금 흐름이 우선이며, 또 클라우드>빅 데이터>사물 인터넷 과 같은 트렌드 변화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남의 얘기를 잘 들어야한다는 둥 이건 도대체 뭥미? ㅋ 한때는 초짜 스타트업퍼로써 이러한 투자 철학이 왠지 낭만스럽기도 했지만 지금은 생각이 조금 달라졌다. 나도 이제 슬슬 결판을 낼때가 오는것일까!?
1. http://dl.acm.org/citation.cfm?id=2588555.2618215
Subscribe to:
Post Comments (Atom)
-
음성 인공지능 분야에서 스타트업이 생각해볼 수 있는 전략은 아마 다음과 같이 3가지 정도가 있을 것이다: 독자적 Vertical 음성 인공지능 Application 구축 기 음성 플랫폼을 활용한 B2B2C 형태의 비지니스 구축 기 음성 플랫폼...
-
개발자 컨퍼런스같은 것도 방문한게 언제인지 까마득합니다. 코로나로 왠지 교류가 많이 없어졌습니다. 패스트캠퍼스로부터 좋은 기회를 얻어 강연을 하나 오픈하였습니다. 제가 강연에서 주로 다룰 내용은, 인터넷 역사 이래 발전해온 서버 사이드 기술들에 대해 ...
-
패밀리 세단으로 새차 구입은 좀 무리일 것 같아서, 중고로 하나 얻어왔습니다. 중고차라고 티 내는건지 :-) 시거잭에 전원이 안들어오더군요. 요즘 참 세상 좋아졌다고 생각드는게, 유튜브에서 시거잭 전원 불량에 대한 단서를 얻었습니다. 바로 퓨즈가 나가...
-
무한 집합의 크기 Cardinality , 즉 원소의 개수를 수학에서는 '농도'라고 말한다. 유한 집합의 크기는 그대로 원소의 개수 이지만, 무한 집합의 경우는 원소의 개수를 낱낱이 셈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농도'라...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