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던 세미나에 의하면 자연 법칙으로 존재하는 관성은 조직에도 존재한다.
다소 철학적 고찰이긴 한데, 우선, 관성(inertia)부터 알아보자.
관성이란 버스가 급출발 할 때 뒤로 쏠리는 그 힘이 바로 관성이다. 관성은 원래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에 불과하니 진짜힘이 아니다. 그래서 관성을 가짜힘이라고 한다. 진짜힘은 버스를 급출발 시키는 힘이다.
몸이 뒤로 쏠리는 가짜힘의 크기는 버스를 급출발 시키는 진짜힘의 크기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게 관성과 운동의 상대성이다.
관성과 운동의 상대성을 생각하면, 조직의 관성은 변화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그것은 요주의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변화의 파도라고 볼 수 있겠다.
Subscribe to:
Post Comments (Atom)
-
음성 인공지능 분야에서 스타트업이 생각해볼 수 있는 전략은 아마 다음과 같이 3가지 정도가 있을 것이다: 독자적 Vertical 음성 인공지능 Application 구축 기 음성 플랫폼을 활용한 B2B2C 형태의 비지니스 구축 기 음성 플랫폼...
-
네이버, KT, 오라클, 그리고 잠깐의 사업을 거쳐 삼성전자에 입사한지도 2년이 지났습니다. 2016년 병신년을 뒤로하며 이번에는 꽤 색다른 도전에 나섭니다. 무슨 일이야!? 국내 O2O 숙박전문 회사 CTO로 조인합니다! 존! 나 고...
-
우리는 남들의 비판을 경험하면서 창조적 사고를 포기하게 된다. 비판으로부터 방어논리와 자기 검열에 취중한 나머지 더 이상 사고에 자유롭지 못하게 되니까 그렇다. 남들의 비판을 두려워하지 않는 자세.. 그것이 순수한 창조적 사고를 지속하는 방법이다...
-
“군자는 어울리되 패거리를 짓지 않고, 소인은 패거리를 짓되 어울리지 않는다." 군자는 의(義)를 높이기에 아부하지 않고, 부화뇌동(附和雷同)하지 않는다. 군자는 대의명분을 지키면서 화합하며 협력한다. 하지만 소인은 이익을 높이기에 이해관...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