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Facebook 에서 어마어마한 동접처리를 위해서 erlang을 사용한다는 얘길 들었다. 또, twitter에서 사용한다는 ejabberd 라는것도 있다. 이런건 대략 distributed / decentralized P2P system like 한 messenger server 인데, 이런건 왜 쓰냐고?
팔로우가 많은 사람은 수백에서 수천, 수만인데.. nearly realtime 을 위해서는 이런거 없이 기술적으로는 여럿에게 메시지 전달이 힘들다.
구글 Buzz가 사용한다는 유사품 pubsubhubbub도 있다.
바야흐로, 세계 Major 웹 서비스 회사들은 Global-Scale, 그 어마어마한 데이터 처리와 real-time service 를 위해, Big Data Storage Systems, Fault Tolerant Architectures, High Scalability, NoSQL 등등 기반 웹 기술을 개발하는데에 집중하고 있다.
Subscribe to:
Post Comments (Atom)
-
음성 인공지능 분야에서 스타트업이 생각해볼 수 있는 전략은 아마 다음과 같이 3가지 정도가 있을 것이다: 독자적 Vertical 음성 인공지능 Application 구축 기 음성 플랫폼을 활용한 B2B2C 형태의 비지니스 구축 기 음성 플랫폼...
-
개발자 컨퍼런스같은 것도 방문한게 언제인지 까마득합니다. 코로나로 왠지 교류가 많이 없어졌습니다. 패스트캠퍼스로부터 좋은 기회를 얻어 강연을 하나 오픈하였습니다. 제가 강연에서 주로 다룰 내용은, 인터넷 역사 이래 발전해온 서버 사이드 기술들에 대해 ...
-
패밀리 세단으로 새차 구입은 좀 무리일 것 같아서, 중고로 하나 얻어왔습니다. 중고차라고 티 내는건지 :-) 시거잭에 전원이 안들어오더군요. 요즘 참 세상 좋아졌다고 생각드는게, 유튜브에서 시거잭 전원 불량에 대한 단서를 얻었습니다. 바로 퓨즈가 나가...
-
무한 집합의 크기 Cardinality , 즉 원소의 개수를 수학에서는 '농도'라고 말한다. 유한 집합의 크기는 그대로 원소의 개수 이지만, 무한 집합의 경우는 원소의 개수를 낱낱이 셈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농도'라...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