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왕이 투계를 몹시 좋아하여 뛰어난 싸움닭을 들고 기성자란 당시 최고의 투계 사육사를 찾아가 최고의 투계로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다. 열흘이 지난 뒤 왕이 기성자에게 물었다. “닭이 충분히 싸울 만한가?” 기성자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아닙니다. 아직 멀었습니다. 닭이 강하긴 하나 교만하여 아직 자신이 최고인 줄 알고 있습니다. 그 교만을 떨치지 않는 한 최고의 투계라 할 수 없습니다.”
열흘 뒤 왕이 또 물었을 때 기성자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아직 멀었습니다. 교만함은 버렸으나 상대방의 소리와 그림자에도 너무 쉽게 반응합니다. 태산처럼 움직이지 않는 진중함이 있어야 최고라 할 수 있습니다.”
열흘이 지난 뒤 왕이 다시 묻자 그는 “아직 멀었습니다. 조급함은 버렸으나 상대방을 노려보는 눈초리가 너무 공격적입니다. 그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려야 합니다.”
또 열흘이 지난 뒤 왕이 묻자 “이제 된 것 같습니다. 상대방이 소리를 질러도 아무 반응을 보이지 않고 완전히 마음의 평정을 찾았습니다. 나무와 같은 목계(木鷄)가 되었습니다. 닭의 덕이 완전해졌기에 이제 다른 닭들은 그 모습만 봐도 도망갈 것입니다.”
장자는 이야기에서 최고의 투계는 목계(木鷄)라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그리고 목계가 되려면 세 가지 조건이 있다.
첫째, 자신이 제일이라는 교만함을 버려야 한다. 자신이 최고라고 으스대는 사람이 배워야 한다.
둘째, 남의 소리와 위협에 쉽게 반응하지 않아야 한다. 누가 뭐라고 하면 쉽게 반응하고 화를 내는 사람이 배워야 한다.
셋째, 상대방에 대한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려야 한다. 누구든 싸우고 경쟁하려고 하는 사람이 배워야 한다.
목계는 인간으로 말하면 완전한 자아의 성취와 평정심을 이룬 사람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내가 가지고 있는 특별한 광채와 능력을 상대방에게 드러내지 않기에 그 빛은 더욱 빛날 수 있다. 나무로 만든 닭처럼 평정을 유지할 수 있기에 남들이 쉽게 도발하지 못한다. (박재희 글)
Subscribe to:
Post Comments (Atom)
-
음성 인공지능 분야에서 스타트업이 생각해볼 수 있는 전략은 아마 다음과 같이 3가지 정도가 있을 것이다: 독자적 Vertical 음성 인공지능 Application 구축 기 음성 플랫폼을 활용한 B2B2C 형태의 비지니스 구축 기 음성 플랫폼...
-
우리는 남들의 비판을 경험하면서 창조적 사고를 포기하게 된다. 비판으로부터 방어논리와 자기 검열에 취중한 나머지 더 이상 사고에 자유롭지 못하게 되니까 그렇다. 남들의 비판을 두려워하지 않는 자세.. 그것이 순수한 창조적 사고를 지속하는 방법이다...
-
“군자는 어울리되 패거리를 짓지 않고, 소인은 패거리를 짓되 어울리지 않는다." 군자는 의(義)를 높이기에 아부하지 않고, 부화뇌동(附和雷同)하지 않는다. 군자는 대의명분을 지키면서 화합하며 협력한다. 하지만 소인은 이익을 높이기에 이해관...
-
네이버, KT, 오라클, 그리고 잠깐의 사업을 거쳐 삼성전자에 입사한지도 2년이 지났습니다. 2016년 병신년을 뒤로하며 이번에는 꽤 색다른 도전에 나섭니다. 무슨 일이야!? 국내 O2O 숙박전문 회사 CTO로 조인합니다! 존! 나 고...
No comments:
Post a Comment